mahler83 Profile Banner
말러팔삼 Profile
말러팔삼

@mahler83

Followers
14K
Following
22K
Media
9K
Statuses
74K

배우는 것과 가르치는 것을 좋아하는 골수이과. 트위터에서의 인격과 현실에서의 인격은 별개입니다. 연구자를 위한 LLM 강의: https://t.co/Ex6kLgbR9T LLM파이썬 강의: https://t.co/dVOghJIa3F

부산
Joined November 2009
Don't wanna be here? Send us removal request.
@mahler83
말러팔삼
8 months
2025년 목표.- 번아웃 되지 말기.- 논문 10편.- 유튜브 영상 1달에 2개씩.- 빅데이터분석기사: 필기(4/5) 실기(6/21).- 듀오링고 365일.- 샐러드, 운동 기록하기.- LLM 활용한 자동화 기능 만들어보기.
7
12
204
@mahler83
말러팔삼
13 hours
"공지된 변화가 없는데 성능이 떨어진 것 같아요"라는 말을 허투로 볼 수가 없겠네 이거.
Tweet card summary image
status.anthropic.com
0
1
7
@grok
Grok
4 days
Join millions who have switched to Grok.
177
357
3K
@mahler83
말러팔삼
13 hours
Opus가 멍청해진 것 같다는 트윗을 좀 봤었는데 진짜였을 줄이야. inference stack이라는거 보니까 routing을 하거나 최적화(quantization) 시킨걸 적용했던거 아닐지. API endpoint를 변화를 허용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눠주는 건 안되나
Tweet media one
1
10
24
@mahler83
말러팔삼
14 hours
#듀오링고 를 일본어로 먼저 시작해서 다 끝내고 스페인어를 하고 있는건데 언어별로 며칠씩 했는지는 확인 안 되나.
0
0
1
@mahler83
말러팔삼
14 hours
todas는 모두, cada는 하나씩 해서 전부. 영어로 all이랑 each/every의 차이랑 똑같은듯 #스페인어
Tweet media one
1
0
1
@mahler83
말러팔삼
1 day
우리 연구실에 knowledgebase를 만들면서 이런 방식을 도입할까 고민중. 기존의 RAG는 문서를 조각내서 벡터 유사도를 이용해 관련 내용을 가져오는데, similarity≠relevance라는 한계가 있음. 여기는 문서 구조 기반으로 추론해서 관련성 있는 내용을 가져옴.
@omarsar0
elvis
2 days
RAG is not dead!. However, we are in an interesting phase of exploring unique ways to index and retrieve information. This vectorless RAG framework uses a tree structure index in place of vectors. Reasoning models will enable methods that mimic human-like search. Early days!
Tweet media one
1
10
36
@mahler83
말러팔삼
1 day
가족들 여기저기 데려다주고 데려오고 하느라 운전 2시간 40분, 걷기 8200보. 오후에는 좀 누워서 회복이 필요하다🫠🫠🫠🫠.
0
0
8
@mahler83
말러팔삼
2 days
36/20 오늘 양자컴퓨팅 관련 웨비나를 듣고 궁금한거 찾아본 내용을 바탕으로 챗봇을 이용해 리뷰아티클을 만들고 그걸로 AO생성. 머신러닝을 경험한 의과학 연구자 입장에서 딱 궁금한 범위까지 확장한거라 들으면서 조깅하는데 황홀하다는 느낌까지 받았다. 양자쪽도 손을 대볼까 싶어지네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0
0
0
@mahler83
말러팔삼
2 days
와 진짜 재미있다 딱 내가 원하는 내용임. 내가 원하는 내용이니까 나만 재미있겠지만 ㅋㅋㅋㅋ
0
0
0
@mahler83
말러팔삼
2 days
이 타래를 챗지피티에게 주고 틀린 내용 교정하고 보강해달라고 요청.→ 그걸 다시 제미나이에게 주고 리뷰아티클 형식으로 글을 적어달라고 함.→ 노트북LM에 넣어서 팟캐스트 생성.→ 듣기 위해 조깅하러 나가야지
Tweet media one
@mahler83
말러팔삼
2 days
오늘 의료정보학회 웨비나에서 "의생명 분야의 양자컴퓨팅" 관련 강의를 듣고 내가 이해한 것을 정리해봄. 틀린 내용 있으면 누군가 딴지 걸어주기를 기대하면서.
2
3
25
@mahler83
말러팔삼
2 days
그런데 이런 추세가 이미 변곡점을 지나버려서 예전처럼 virtue에 의존해 굴러가는 건 불가능할텐데. 내가 죄인도 아닌데 왜 이런 고민을 하고 앉아있어야 하나 좀 억울하다.
0
1
11
@mahler83
말러팔삼
2 days
의사과학자 과정에 4~5명씩 학��을 교수님들이 맡아서 학기 내내 지도해야 하는데 보통 10~15분 정도 지원하고(교육업적 높음) 나머지는 주위에 읍소해 인원을 채워왔다. 그런데 이번에 2학기 시작하면서 모집했는데 지원자가 1명. 나도 부책임 안 맡고 싶다🫠🫠🫠 모든 책임을 지고 물러나는 걸로.
2
2
27
@mahler83
말러팔삼
2 days
세상에서 제일 무서운 괘씸죄.
0
4
18
@mahler83
말러팔삼
2 days
orcid에 대해 문득 궁금해서 검색해봄. 2012년 10월에 개시되었네. 생각보다 얼마 안 됐음. 그 즈음에 유행처럼 연구실에서 다들 만들었던 기억이 난다. 생긴지 얼마 안 된 시기였구나.
1
0
4
@mahler83
말러팔삼
2 days
chat, is this true?.
@Nature
nature
2 days
Posts about research on Bluesky receive substantially more attention than similar posts on X, formerly called Twitter.
0
0
0
@mahler83
말러팔삼
2 days
sklearn 라이브러리 이용한 초식 몇 개만 알면 논문 쓸 수 있는 것처럼, 파울리게이트가 뭔지 몰라도 오늘 소개된 qiskit 라이브러리 예제 보고 공부해서 클라우드로 연습하고 있으면 기회가 올지도? ML 막 유행할 때 예측모델 만들어서 정확도만 보여도 논문이 되던 시절처럼.
0
1
0
@mahler83
말러팔삼
2 days
의생명 연구자 입장에서는 ML모델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몰라도 데이터 클리닝하고, 변수선택하고, nested cross validation 같은거 잘 설계하고, hyperparameter tuning좀 해주고, XAI 좀 적용해주고 하면 논문 쓸 수가 있었는데, "양자컴퓨팅" 활용 연구도 마찬가지 아닐까 싶다.
1
2
1
@mahler83
말러팔삼
2 days
디지털 데이터의 차원수가 올라가면(multi-omics 같은거) 이걸 가지고 고전ML 모델을 돌리면 matmul같은게 연산수가 너무 많아짐. Qbit으로 변환해서 양자연산을 하는게 더 효율적일 수 있음(하드웨어 구현이 제대로 된다면) 내 이해가 맞다면 수백개 입력변수 정도는 굳이 양자컴 안 써도 됨.
1
0
0
@mahler83
말러팔삼
2 days
training: 디지털정보 → 엠베딩 → 큐빗 representation → 양자연산 노가다로 학습 → 양자 예측모델이 만들어짐.inference: 디지털정보 → 엠베딩 → 큐빗 → 학습된 양자모델로 연산 → 출력은 관측하면서 양자상태가 깨지며 0-1 probability 형태로 나타남.
1
1
1
@mahler83
말러팔삼
2 days
퀀텀정보는 n개의 Qbit이 있으면 2^n차원 힐버트공간(청춘돼지 시즌2 7화)이 만들어짐. QPU에 큐빗숫자 하나 올라갈때마다 다룰 수 있는 정보 크기가 제곱으로 커짐. 정보 해상도가 높아지는걸로 이해하면 되려나?.디지털 입력정보는 보통 벡터/행렬일텐데, 이걸 Qbit으로 엠베딩하는 과정이 필요.
1
0
2
@mahler83
말러팔삼
2 days
양자컴퓨팅은 2진수 비트가 아니라 퀀텀상태 Qbit을 이용해서 중첩/얽힘/간섭 기반의 연산(뭐시기 게이트 하는 것들)을 하는 시스템. 데이터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디지털 입력 정보를 Qbit으로 변환하는 선과정이 필요. 그 퀀텀 연산들을 이용하는 모델을 학습시켜서 예측을 잘하게 만드는 건 동일.
1
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