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립언어원
@language365
Followers
524
Following
76
Media
269
Statuses
5K
이게 왜 진짜인지
안녕하세요. 정말 오랜만에 롤앤토크 편집부가 인사드립니다. 영상출판미디어(주)가 데이즈엔터(주)로 사명을 변경하며, 새 계정에서 새롭게 인사드리며 신규 TRPG 서적 발매를 소개드립니다. 더블크로스 The 3rd Edition 한국어판 펀딩 선행 공개 시작! 많은 관심 바랍니다. https://t.co/XHZYJWViQx
0
0
1
'광주'와 '성역화'가 한 문장에 나올 때마다 어이 없어 말을 잊는다. 광주야말로 성역과 정 반대 위치에 있지 않은가? 광주만큼 의심되고 폄하되고 때마다 끄집어져 모독되어 온 사건이 또 있는가?
0
498
316
표준 언어 예절(2011): '수고하셨습니다'를 금지하는 문장을 삭제해서 '수고하십시오'만 안 되는 것인지 '수고'가 들어간 말이 다 안 되는 것인지 모호해짐
0
0
2
이거 실재한 적이 있는 언어예절인지부터 의심스럽다.
1
4
10
일제가 붙인 지명은 공식 행정구역명이 된지 100년이 넘어서도 제대로 생명력을 얻지 못한 경우가 꽤 있습니다. 남양주의 '화도읍', '와부읍'은 일제가 붙인 지명인데 지금도 그 하위지명인 '마석', '덕소'가 더 유명하지요.
1
0
4
인천, 춘천, 경주, 전주, 대전 모두 조선 때부터 공문서에 사용해오던 지명으로, 이 중 일제가 새로 지은 것은 하나도 없습니다. 일제가 이를 그대로 행정구역명으로 사용한 것이 고유어 지명을 말살하기 위한 것이었다고는 생각하기 어렵습니다.
0
23
8
'미추홀'(인천)과 '서라벌'(경주)는 <<삼국사기지리지>>에 기록된 백제와 신라의 지명으로 이미 조선 때는 지명으로 남아있지 않았을 것이고, 설령 잔재가 남아있었대도 그 발음이 '미추홀', '서라벌'일 수는 없었을 것입니다.
1
9
5
'온고을'(전주)과 '봄내'(춘천)은 현대인이 부회한 지명풀이입니다. 조선 때는 이 이름으로 불린 적이 없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1
18
8
일제에 의해 그 내력을 잃어버린 지명이 적지 않으므로 원트윗�� 지적은 의미가 있으나 예시가 적절하지 못한 점이 아쉽습니다.
1
72
17
예를 들면 양립(兩立)처럼요. https://t.co/Ty742GlJwR
ko.dict.naver.com
3개의 한국어 대사전 (표준국어대사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우리말샘), 상세검색, 맞춤법, 보조사전
본인이 특별한지 특별하지않은지 고민하시는 분 고민마세요. 둘다 맞습니다. 모두가 특별하기때문에 특별한게 디폴트여서 역설적으로 모두가 특별하지 않게 되는거에요. 세상엔 생각보다 반대의 의미면서 양립하는 단어가 많답니다.
0
2
2
Pomerantz, A. (1978). Compliment Responses: Notes on the Co-Operation of Multiple Constraints. In J. Schenkein (Ed.), Studies in the Organization of Conversational Interaction (pp. 79-112). New York: Academic Press.
0
0
2
Pomerantz (1978)의 6컷 요약이다. 이 만화 그대로 사회언어학 교과서에 실어도 됨
1
0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