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rron Profile
Darron

@0xdarron

Followers
173
Following
974
Media
1
Statuses
114

Devil's advocate

Rabbit hole
Joined September 2017
Don't wanna be here? Send us removal request.
@0xdarron
Darron
15 days
RT @a41_allforone: A new chapter begins for ZK proving. Congrats to @SuccinctLabs on the launch of the Succinct Prover Network!. At A41 th….
0
3
0
@0xdarron
Darron
1 month
RT @tcoratger: 1/ Ethereum is preparing for the post-quantum era. Today was the first lean Ethereum interop call with @zeamETH and @ReamLa….
0
29
0
@grok
Grok
1 day
What do you want to know?.
10
8
64
@0xdarron
Darron
3 months
RT @r2Jamong: A41 ZK팀에서 컴파일러/GPU 엔지니어 채용을 진행합니다! .관심 있으시거나 주변에 괜찮은 분이 있으시다면 많은 추천 부탁드려요. Compiler Engineer : GPU En….
0
3
0
@0xdarron
Darron
4 months
투명성을 위해:.A41은 Mantle LSP(mETH)와 EigenDA의 오퍼레이터로 참여하고 있음을 밝힙니다. 모든 의견은 개인적인 견해이며 재정적 조언이 아닙니다.
0
0
2
@0xdarron
Darron
4 months
9/ 개인적 의견:.L2는 사용자 확보와 (비용을 고려한)보안 개선이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해결해야 하는 어려운 위치에 있다. 높은 보안은 필연적으로 높은 비용을 야기하므로, 현실적으로 보안성은 생태계의 규모에 따라 점진적으로 개선되는 접근법이 합리적이라 생각한다.
1
0
2
@0xdarron
Darron
4 months
8/ 요약:.정리하면, Validium은 분명 Rollup보다는 DA가 약한것은 맞지만 이는 L1 혼잡도에 기인한 자연스러운 선택이며, EigenDA를 통해 차선의 보안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OP Succinct가 메인넷에 적용되면 출금 대기시간을 단축하는 등 UX개선이 이루어질것으로 보인다.
1
0
1
@0xdarron
Darron
4 months
7/ 앞으로의 과제:.OP Succinct는 아직 멘틀 Testnet까지만 적용된 상태이다. 메인넷에 온전히 배포���어 문제없이 동작하는것을 보기까지는 조금 시간이 필요할것으로 보인다. 또한 L2beat를 인용하자면 Proposer가 단일 실패지점으로 존재하는점 또한 앞으로 해결해야할 과제로 보인다.
1
0
3
@0xdarron
Darron
4 months
6/ 도전적인 채택:.얼리어답터인 Phala는 비용 제약으로 인해 메인넷에서 12시간 주기로 commit 하지만, Mantle은 현재(테스트넷 기준으로) 2시간 주기로 commit 하며 더 빠른 완결성을 목표로 하고있다. 메인넷에서도 이 속도를 유지하는것이 챌린지가 될것이다.
1
0
2
@0xdarron
Darron
4 months
5/ Finality와 OP Succinct:.OP Stack은 fraud proof로 완결성을 보장하기에 거래가 완결(finalize)되기까지 7일이 걸린다. OP Succinct는 zk 증명을 통해 거래의 완결시간을 1~2시간 정도로 짧게 만들어준다. 짧은 완결시간은 곧 짧은 출금 대기시간으로 이어진다.
1
0
2
@0xdarron
Darron
4 months
4/ Mantle의 선택은 EigenDA:.Mantle은 높은 수수료에도 불구하고 EigenDA를 선택했고 보안성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인상을 주었다. 한편, 곧 진행될 EigenDA의 v2 업그레이드는 수수료를 Celestia 수준으로 낮추는 것이 목표이기에, Mantle이 이를 선제적으로 고려하여 선택했을 가능성도 있다.
1
0
1
@0xdarron
Darron
4 months
3/ 비용과 보안 Align 문제:.현 시점 Celestia는 EigenDA보다 수수료가 저렴하다. 이 때문에 초기 단계의 L2는 Celestia를 선호할 수밖에 없다. 다만 Celestia는 $TIA 와 별도의 상태로 보안을 형성하는 반면, EigenDA는 $ETH 와 L1의 컨트랙트로 이루어져 이더리움과 보안모델을 일부 공유한다.
1
0
1
@0xdarron
Darron
4 months
2/ EigenDA vs Celestia:.EigenDA와 Celestia의 보안은 이더리움 L1을 능가할 수 없다. 그러나 현재 이더리움 L1의 DA 솔루션(blob)은 매우 혼잡하여, L2의 모든 수요를 감당하기 어려운 상태다. 결국 EigenDA와 Celestia 중 선택은 비용과 보안의 균형점을 찾는 문제로 귀결된다.
1
0
1
@0xdarron
Darron
4 months
1/ Data Availability (DA):.Rollup과 Validium의 주요 차이는 DA(Data Availability) 보안에 있다. L2를 개발할 때 DA Layer의 선택지의 첫째는 이더리움 L1(온체인)이고, 둘째는 대안 DA 레이어(오프체인)이다. 현재 EigenDA와 Celestia, Avail 등 다양한 오프체인 DA 솔루션이 존재한다.
1
0
1
@0xdarron
Darron
4 months
Mantle과 EigenDA, 그리고 OP Succinct. @Mantle_Official은 Validium & Optimium 중에선 가장 TVL이 높은 L2이다. 최근 Mantle이 @eigen_da와 OP Succinct(@SuccinctLabs)를 채택한 결정은 어떤 의미를 지닐까? 궁금증이 생겨 간단히 살펴보았다.
Tweet media one
2
4
12
@0xdarron
Darron
4 months
I built a dashboard funded by an Ethereum grant, to track validator consolidation and the health of the consensus layer. Also developed a new libp2p data collector called peekd, which will be open-sourced soon. Stay tuned!.
@a41_allforone
A41
4 months
🚀 Introducing the Post-Pectra Network Dashboard — built by A41 with support from the @Ethereum Foundation. We’re measuring the real impact of validator consolidation & blob scaling on network health, bandwidth, and decentralization. 📊 Explore here :
0
1
8
@0xdarron
Darron
4 months
이더리움 가격을 보면서 범용 L2들은 자체 토큰이 없어야 했나. 라는 생각을 문득 했었는데.이 문제를 해결하는 디자인이 나온것 같아 기대되네요. No token, Stage 2 from day 1, Replaceable by design.
@ethereumR1
Ethereum R1
4 months
Introducing Ethereum R1 — The neutral rollup built for Ethereum. No token. No private sales. No governance cult. Just Ethereum values, public funding, and community control. 🧵 Why R1 matters & how you can join:.
1
0
2
@0xdarron
Darron
4 months
RT @zengjiajun_eth: Let's truly scale Ethereum via based rollup, together.
0
8
0
@0xdarron
Darron
4 months
RT @r2Jamong: 이더리움의 대표 리스테이킹 EigenLayer. 출시 후 1년이 훌쩍 지난 최근 EIP-002가 적용됨에 따라 AVS들에 슬래싱 도입이 가능해졌습니다. 이에 AVS별 리스테이킹 리스크를 판단할수 있는 대시보드인 https:….
0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