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youngoh Profile Banner
Siyoung Oh Profile
Siyoung Oh

@siyoungoh

Followers
719
Following
214
Media
29
Statuses
447

1n년차 소프트웨어 개발자. 커리어 굴리기. 관심사: general systems, large-scale computing, efficiency. 전: 쿼라 (ML platform), 구글 (Borg TLM), 카카오, 넥슨, DRW, 페북. 현: Snowflake (FinOps)

Seattle
Joined June 2009
Don't wanna be here? Send us removal request.
@siyoungoh
Siyoung Oh
3 days
개발자는 역사도 짧고 진입장벽도 낮다는 면에서 근본 없는 직업이라 할 만하다. 그리고 이런 성 밖의 직업들은 전통적인 직업과 다른 접근법이 더 유효하다. 세련된 선형적 성장이 아니라 좀 우당탕탕한 면이 있는 전략을 반성 겸 적어본다.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Tweet media three
Tweet media four
0
1
13
@siyoungoh
Siyoung Oh
4 months
경제알못 시스템 개발자가 이해해보려는 <미국의 문제와 관세의 방향성>. 제조업, 안보, 지속성, 세대간 격차 등의 문제를 생각하면 점들이 이어지는 것도 같지만, 헛소리일 수도. ㅎㅎ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Tweet media three
Tweet media four
0
0
2
@siyoungoh
Siyoung Oh
5 months
플랫폼 개발자 비슷한 걸 하면서 먹고사는 중이라 관심을 갖던 HashiCorp가 저번주 IBM에 인수 종료됨. 전반적인 개발 흐름에도 의미가 있다 생각해서 정리해 봄.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Tweet media three
Tweet media four
0
41
46
@siyoungoh
Siyoung Oh
7 months
막막한 커리어를 굴리는데 좋은 책들의 도움을 많이 받아서, 그중 시작하기 괜찮은 10권을 골라 소개해 봅니다.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Tweet media three
Tweet media four
0
5
20
@siyoungoh
Siyoung Oh
8 months
지금 회사와 전전전전 회사(넥슨)의 아름다운 데이터 플렛폼 협업: AI와 빅데이터 용어들은 벌써 진부하지만, 아직 거대 물결의 초입이라 생각. 그리고 전 글에서도 언급한 파편화된 세상에서는 각자의 강점을 극대화하는 집중이 중요할 것 같음.
Tweet media one
1
5
10
@siyoungoh
Siyoung Oh
8 months
재밌는(?) 옛날 이야기: 2012년 졸업하던 많은 친구들이 구글 / 페북은 성장이 다 끝나서 rsu가 의미 없다고 판단. 드랍박스, 팔란티어, 쿼라 같은 곳이 인기가 좋았던 기억. 돌아보면 크기가 성장을 결정하는 유일한 요소는 아니었고,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다.
2
17
40
@siyoungoh
Siyoung Oh
8 months
예: 한동안 메니저 아래에 7-10 명 정도를 이상적이라 생각했던 것 같음. 메니저를 할 기회가 상대적으로 많았는데, 요새는 중간 메니저를 줄이는게 유행. (메타 - 아마존 - 구글 ipo 시절 (2004년)은 메니저 하나에 100명 넘기도 했다고.
Tweet card summary image
aboutamazon.com
The message below was shared with Amazon employees today.
0
2
9
@siyoungoh
Siyoung Oh
8 months
일 하는 스타일도 유행이 있는 것 같다. 2013년 구글이 심리적 안정감 (psychological safety)을 위시했다면, 지금은 "what did you get done this week?"이 시대 정신 같음. 그 전에는 "move fast and break things", 더 전에는 "social responsibility"가 있었으니, 유행은 돌고 도는 것 같음.
1
15
36
@siyoungoh
Siyoung Oh
9 months
즐겨보는 조진서 기자님이 뉴스레터 시작하셔서 추천! 블로그부터 10년넘게 봤는데, 독특한 시선이 에코챔버를 벗어나는데 큰 도움이 되었음 (전부 동의는 x). 관련해서 LLM님도 정치쪽으로 더닝크루거가 잘 작동하지 않는 이유로 에코챔버, 감정적 집착, 피드백 등을 지적
Tweet media one
0
1
8
@siyoungoh
Siyoung Oh
10 months
5년 뒤에 업데이트 한 v2 심화버전 (TIME):
@siyoungoh
Siyoung Oh
10 months
5년만에 업데이트 해보는 커리어 굴리기v2 - TIME: 긴 시계열은 소소한 개인에게 가장 강력한 힘. 하지만 우린 손쉽게 선형적 구조에 갇히며, 5~10년이 훅 지나가기도 한다. 여전히 내 앞길은 막막하지만, 그래도 그간 구르면서 고민해본 내용을 정리.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Tweet media three
Tweet media four
0
1
4
@siyoungoh
Siyoung Oh
10 months
추천++ 유용한 전략 중 하나는 good + good > excellent. 예: 수학과면서 코딩을 할 줄 알거나 개발자 치고 수학을 좀 하는 방향이 개발자 중에 코딩을 잘하는 것보다 훨씬 할만하고 기회도 괜찮음. 내 글들과 어쩌면 가장 겹치는 책인데, 원제는 시스템과 무관하지만 결국 같은 얘기라는 것도 신기.
@seojeee
Jiyeon Seo (치즈) 🧀🎗
10 months
회사 동료분이 “치즈 혹시 더시스템 읽었나요? 읽는 내내 치즈가 생각났어요. 분명 읽었을 거라 생각했어요” 라는 다소 당황스러운ㅋㅋㅋㅋㅋㅋㅋㅋㅋ 추천을 받고 읽기 시작했는데 저자의 삶을 대하는 태도가 너무 맘에 들어서 동료의 추천도 뒤늦게 감동 받았다.
Tweet media one
0
49
92
@siyoungoh
Siyoung Oh
10 months
5년만에 업데이트 해보는 커리어 굴리기v2 - TIME: 긴 시계열은 소소한 개인에게 가장 강력한 힘. 하지만 우린 손쉽게 선형적 구조에 갇히며, 5~10년이 훅 지나가기도 한다. 여전히 내 앞길은 막막하지만, 그래도 그간 구르면서 고민해본 내용을 정리.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Tweet media three
Tweet media four
0
16
41
@siyoungoh
Siyoung Oh
1 year
8년간 면역 질환을 개선하면서 알게된 점들 정리: 단식과 식습관 등이 핵심이지만, 면역 문제는 개발자적 접근이 유효했다 (디버깅과 비슷). 가속 노화가 관심을 받아서 다행인데, 사전 의학 지식 없이도 I/O 관점에서 보면 개선 방향을 볼 수 있다고 생각.
1
17
54
@siyoungoh
Siyoung Oh
1 year
RT @dylayed: 지난 몇 달간 여러 AI 챗봇 서비스를 방황하다 결국.@poe_platform.에 정착했다. 단 하나의 구독으로 ($20/mo) 모든 LLM과 대화할 수 있는데, 채팅 세션 중 "@"로 다른 LLM을 태그 시키 대화 참여시킬….
0
190
0
@siyoungoh
Siyoung Oh
1 year
다만, 난이도에 방향성이 있어야 복리 효과가 있는 것 같다. 어느새 5번째 회사를 경험하는 중인데 (인턴까지는 +2.5), 세상에 쉬운 일은 없고, 모든 난이도가 비슷하게 유용하지도 않은 것 같음. 🙃.
0
0
2
@siyoungoh
Siyoung Oh
1 year
꾸준함과 성장: 꼭 같이 가는 것은 아니었음 🫤 deliberate practice 개념이 유용했는데, 핵심은 "지금의 나"에게 적당히 어려운 일을 꾸준히 해보는 것. 예: ICPC는 1-4시간 고민하고 푼 문제들이 효과적이었음. 직장인도 그럴 조직이나 문제를 찾아 다니는 것이 고려 해볼만한 전략이라 생각.
@siyoungoh
Siyoung Oh
6 years
월급 개발자 10주년 기념 정리
1
33
84
@siyoungoh
Siyoung Oh
1 year
알고리즘 대회 문제가 실전에서 도움이 되었던 드문 (?) 사례에 대해 적어보았습니다. 시시한 결론이지만, 쓰다보니 k8s, SLO 같은 개념도 언급해야 했어서 특이 취향들에게는 흥미로울 수도.
Tweet media one
1
25
65
@siyoungoh
Siyoung Oh
2 years
요약은 1. 하드웨어 파편화 2. 폭발적인 수요 3. 복잡해지는 솔루션. 4. 이 속에서 프로젝트를 잘 고르는 것이 중요 (운도 따라야하지만, 어디에 계속 니즈가 있을지 생각해볼만.).
0
1
10
@siyoungoh
Siyoung Oh
2 years
혼란한 개발 업계의 거시 흐름 + 그 안에서 커리어 파도타기에 대해 써보았습니다: (5년 전 커리어 눈 굴리기의 약간 연장) 8년간 실리콘밸리+시애틀의 일 얘기도 살짝 첨부하다 보니 좀 길어짐. 관련되서 다른 분들 의견도 들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Tweet media three
Tweet media four
2
44
137
@siyoungoh
Siyoung Oh
2 years
k8s의 전신으로도 유명한 Borg가 20주년을 맞이! 급변하는 업계에서 강산이 2번 변할동안 진화해왔다는 것은 의미있는 성과라고 생각 -- Docker가 나오기도 10년전이고, cgroup도 2007년에야 나옴. 그림은 Datacenter as a Computer에서 보여준 구글 스택.
Tweet media one
2
6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