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oum
상일
3 years
“능력주의를 거스르는 현상은 과학기술계 전반에서 발견된다. 남학생은 자신의 능력이 어떠하든 주위에서 항상 자신과 능력이 비슷한 동료와 선배를 만날 수 있다. 반면 여학생은 뛰어난 실력이 강조되는 여성 롤 모델에 압도되기 일쑤다. “
1
315
128

Replies

@sioum
상일
3 years
“(사이언스지 논문).. 이는 물리학 및 공학 분야의 성비 불균형이 특히 심한 이유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능력이 뛰어나서가 아니라 이 분야에 능력이 부족한 남학생이 지나치게 많이 들어오기 때문임을 말해준다.” [한겨레] “여자가 공대는 무슨” 오랜 편견 넘어서려면
4
2K
681
@sioum
상일
3 years
“2007년 미국 국가 과학상을 수상한 핵물리학자 페이 에이젠버그-셀러브는 이런 말을 남겼다. “하버드뿐 아니라 다른 어느 대학에도 이류밖에 안 되는 남자 교수가 많다. 나는 이류밖에 안 되는 여성 연구자가 대학 정년직을 받는 것을 보아야 비로소 성차별이 없어졌다고 믿겠다.””
0
433
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