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ne Kim Profile
June Kim

@cjunekim

Followers
3K
Following
665
Media
24
Statuses
3K

Started programming in 1982 w/ Apple II. Still looking for that joy. Expert in expertise research & NDM research President of Agile Consulting

Seoul, Korea
Joined February 2009
Don't wanna be here? Send us removal request.
@cjunekim
June Kim
7 hours
llm에게 regex 리팩토링을 시킬때 state trans diag를 먼저 그려서 하라고 하면 훨씬 높은 수준의 결과물이 나온다. mental representation이 이렇게 중요하다.
0
0
1
@cjunekim
June Kim
22 hours
자연어 프롬프팅은 궁극의 목적지가 안될거라 생각한다. 결국 공진화적면에서 인간이 (AI가 제시하는) 인공언어"도" 쓸 수 있게 되는 쪽으로 발전할거라고 예상한다.
wiki.g15e.com
AI 에이전트 활용이 일상화되면서 더 두드러지게 드러나기 시작한다.
0
2
9
@cjunekim
June Kim
2 days
AI의 발전으로 초반 개발속도가 급격히 올라가면서 무엇을 만들지에 대한 피드백을 (빨리) 받는 일이 더 중요한 병목으로 부상하게 된다. 어떻게 하면 더 빠른 시간내에 더 가치 높은 피드백을 받는가가 의사결정의 품질을, 나아가서 제품 성패를 가르게 될 것이다.
1
3
27
@cjunekim
June Kim
1 year
EP9 인터뷰 기사. 주제는 인지적 프롬프팅. 24시간 동안만 무료로 볼 수 있다고.
0
8
28
@cjunekim
June Kim
2 years
"한번에 10개를 모두 던지고"가 아니고 한번에 30.
0
0
0
@cjunekim
June Kim
2 years
요약하자면, 현상황에서 outcome을 생각했을 때 가장 중요한 center를 만들고, 전체를 보고 평가를 한 다음, 다시 현상황에서 outcome을 봤을 때 가장 중요한 center를 또 추가하고 평가하고를 반복한다. 이게 존나 복잡하고 불확실한 상황에서 자연이 취하는 전략이다.
0
4
10
@cjunekim
June Kim
2 years
이렇게 현 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의사결정을 수학자/건축가 크리스토퍼 알렉산더의 말을 빌리면 center라고 한다. 즉, center의 순서에 따라 일이 훨씬 쉬워지고 어려워지고 한다.
1
4
5
@cjunekim
June Kim
2 years
부엌을 설계할 때 벽지부터 선정하려고 하면 뭘 골라야할지 잘 몰라서 헤맨다. 그리고 벽지를 선정했다고 해도 다른 의사결정이 쉬워지지 않는다. 하지만 탁자 위치를 정하면(서양 부엌에서) 다른 결정이 굉장히 수월해진다. 나무의 결 대로 자르는 것과 같다.
1
2
2
@cjunekim
June Kim
2 years
그런데 이걸로 불충분하다. 왜냐하면 문입구에서부터 페인트 칠을 하는 실수가 있을 수 있다. 그래서 sequence가 중요하다. 중요한 의사결정부터 해야 한다. 어느 의사결정을 먼저 하면 다른 모든 의사결정이 순조로워질까를 생각해서 그거부터 처리한다. 중요한 동전부터 던져야 한다는 거다.
1
1
7
@cjunekim
June Kim
2 years
약 300년대 2분의 차이. 엄청나다. 그런데 동전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이 차이는 점점 기하학적으로 커진다. 내가 어떤 일을 할 때 올바르게 해야하는 의사결정의 개수로 생각해 보자.
1
0
0
@cjunekim
June Kim
2 years
growthxfest2023에서 발표한 <존나 복잡하고 불확실한 상황에서 의사결정 하기> 동전 30개를 던져서 모두 앞면이 나오게 한다. 한번에 10개를 모두 던지고 확인하고 그걸 모아서 다시 던지는데 걸리는 시간을 8초로 보면, 평균 272년 걸린다. 그걸 하나씩 순서대로 던지면 매 2초 걸린다고 보고 총 2분.
2
8
22
@cjunekim
June Kim
2 years
��포먼스 공식 : performance = valid explicit knowledge * valid tacit knowledge * practice * habit * tools * social capital/skill * meta-cognition * energy(cognitive/affective/physical) 이 중 하나가 0이면 전부 0.
0
7
14
@cjunekim
June Kim
2 years
1) 왜 OOP설계는 실력이 느는데 영어는 안느나 2) 백지에서 만드는 게 아니라 이미 방대한 코드가 있을 때 그걸 수정하는 경우가 많은데 코드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려면? .
www.youtube.com
강의 사이트에 올라왔던 질문 중 두 개를 골라 그에 대해 답합니다. 나머지 강의는 https://inf.run/CDp9b 에서 들을 수 있습니다.1) OOP 설계랑 영어 공부 두가지를 모두 비슷한 방법으로 접근하고 있는데, OOP 설계는 어느 정도 훈련이 되었는데 왜 영어는 잘 안...
0
13
23
@cjunekim
June Kim
2 years
애자일을 "일단 만들고 보자"로 이해하거나 혹은 "무조건 이 규칙들을 지켜야해"로 이해한다면, 오해한 거다. 그러면서 애자일은 비판한다면 전형적인 허수아비의 오류.
0
6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