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iedame
amisdame
11 months
학술적인 정의로든, 대중들의 이미지 속에서든, 중산층에 대한 정의는 그 사회의 경제/직업 구조가 발달한 역사나 도시화의 역사와 관련한 맥락들 속에서 결정된다. 국가간의 단순 비교는 중산층의 본질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하지 못한다.
2
140
161

Replies

@amiedame
amisdame
11 months
아, SNS에 떠도는 프랑스 중산층 vs 한국 중산층 정의 보면서, 한국 중산층 정의의 정량화만 쳐다 보느라... 정작 내가 프랑스 중산층 정의에 대해 답할 수 있는 전문 연구자라는 사실을 잊고 있었다는 점을 자각했다. 트위터에서 전공 얘기 잘 안 하는 편이라... 한 가지만 이야기하겠다.
1
263
250
@amiedame
amisdame
11 months
"한 가지 악기를 다루고, 자선봉사를 하고..." 등의 프랑스 중산층 정의가 어디서 나온 얘기인지, 내가 여러 차례에 걸쳐 프랑스의 사회학 문헌들을 검토하고, 인터넷 검색을 해보았는데... 그런 식의 중산층 정의를 프랑스 자료에서 찾는 데 성공하지 못했다. 특히 학계에선 전혀 언급되지 않는다.
3
210
166
@amiedame
amisdame
11 months
한국 사회과학에서는 소득수준을 10분위로 나눠서 4~6등급을 중산층으로 추정하는 방법이 흔히 쓰였는데, 요새는 근로소득 외에 다양한 자산이 소득원이 되기에, 중산층을 다차원적으로 정의하는 방법들이 활용되고 있다.
1
92
87
@amiedame
amisdame
11 months
프랑스 사회과학에서는 주로 직업으로 사회계층을 구분한다. 그것은 직업과 직급에 따라, 프랑스 국세청에 잡히는 소득 평균이 거의 비슷하고, 통계청에서도 그에 따라 소그룹을 나눴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프랑스에서는 주로 누군가의 직업으로, 그 사람이 어느 계층에 속하는지 아는 경우가 많다.
1
186
153
@amiedame
amisdame
11 months
간만에 전공 얘기 끝.
0
8
42
@smoru
이승택 landloper
11 months
@amiedame 누군가가 자신의 입맛에 맞게 가공된 이야기의 사례가 될 듯 합니다. 저도 그 사례를 보면서 도대체 어떤 근거로 이야기하는 것일까 의아했는데 이제 풀렸습니다. 감사합니다.
1
0
1
@amiedame
amisdame
11 months
@smoru 어떤 분이 알려주셨는데, 프랑스 중산층 기준은 오~~~~~~래 전에 조선일보 이규태 칼럼에서 소개된 퐁피두 대통령의 공약이라고 합니다. ^^
1
0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