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W0803 Profile Banner
nananaa.eth Profile
nananaa.eth

@LHW0803

Followers
673
Following
2K
Media
60
Statuses
1K

@DecipherGlobal / Medium: https://t.co/hmlGbLIBzG

Joined April 2022
Don't wanna be here? Send us removal request.
@LHW0803
nananaa.eth
13 days
48
18
110
@LHW0803
nananaa.eth
23 hours
RT @LHW0803: Project Spotlight #1 by nananaa.eth. MIRA – An AI Verification Infrastructure. Mira Overview.@Mira_Network is an AI verificati….
0
1
0
@LHW0803
nananaa.eth
1 day
Project Spotlight #3 by nananaa.eth. Yupp - A Multi AI Model Response Platform. Yupp Overview.@yupp_ai delivers multiple AI model responses to a single prompt simultaneously. - Users earn credits for free usage by providing feedback. - Yupp provides a preference-based leaderboard
Tweet media one
4
1
16
@LHW0803
nananaa.eth
2 days
Project Spotlight #2 by nananaa.eth. Espresso - A Global Confirmation Layer for L2s. Espresso Overview.@EspressoSys is a Global Confirmation Layer that provides L2 chains with fast, reliable transaction confirmations. - Espresso uses HotShot; the PoS adaptation of the HotStuff. -
Tweet media one
15
0
35
@LHW0803
nananaa.eth
3 days
[공유 시퀀싱을 구현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점]. 자몽님이 공유 시퀀서의 MEV적 측면에 대해서 짚어주셨는데요. 공유 시퀀싱이 가능한 핵심은 "지금 L2는 MEV를 추출하지 않고 있다" 인것 같습니다. 즉 탈중앙화 시퀀서의 bm은."L2가 추출하지 않고 있는 MEV를 추출하여 수익을 벌겠다!".인 것이고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r2Jamong
Rejamong.eth
3 days
[공유 시퀀서의 진짜 목적] - L2 사용자들의 트랜잭션에서도 슈킹해보자. "시퀀서" 라는것은 일반적으로 L2에서 일정 기간 들어온 사용자들의 트랜잭션의 순서를 정렬해서 블록으로 만들고, L1으로 롤업 하는 주체를 의미합니다. L1에는 시퀀서의 역할을 하는 밸리데이터들이.
9
1
34
@LHW0803
nananaa.eth
3 days
[Mira와 Lagrange 파트너쉽의 의미]. 제가 6/26에 작성한 [Mira Network 톺아보기]를 시작으로 작성한 아티클들에서,.@Mira_Network 의 초기 추론 과정은 Mira에 대한 신뢰를 기반으로 운영되며,.추후 zkML을 이용하여 Verifiable한 ML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런데 6/27에 Mira가
Tweet media one
@Mira_Network
Mira
12 days
We’re taking our partnership with @lagrangedev to the next level. DeepProve, Lagrange’s zkML prover, now powers @Mira_Network’s verification layer. Together, we’re building AI systems that prove their outputs in real time.
11
0
23
@LHW0803
nananaa.eth
4 days
[Espresso가 제공하는 Confirmation]. @EspressoSys 는 L2를 위해, DA, 탈중앙화 시퀀서, Confirmation 이라는 세 개의 스택을 제공합니다. 이 글에서는 그 중 Espresso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는,.Global Confirmation Network 기능에 대해 다음 네 가지를 중심으로 알아보겠습니다:. 1.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14
0
24
@LHW0803
nananaa.eth
5 days
.@EspressoSys 카이토 리더보드 온보딩 전이지만,.7d 84등 올라왔네요! . 사실 에스프레소는 개인적으로 애착이 많이 가는 프로젝트입니다. @DecipherGlobal 첫 세션 발표를 Decentralized Sequencer로 시작하면서, 가장 처음 리서치했던 프로젝트가 에스프래소였고,. 디사이퍼 졸업학기 팀장으로
Tweet media one
@HodlethKR
Hodleth (✧ᴗ✧) $M | 🐜
5 days
Espresso 7D LB 업데이트 ☕️ @EspressoSys . Global Confirmation Layer (글로벌 확인 레이어) .Privacy (프라이버시) .Decentralized Sequencer (탈중앙화 시퀀서) .Cross-Chain Composability (크로스체인 상호운용성). #30 iinging747 .#42 shl3376 .#55 VibeBooo .#81 me.#84 LHW0803 .#87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15
0
23
@LHW0803
nananaa.eth
5 days
[Espresso의 탈중앙화 시퀀서]. Espresso는 L2를 위해, DA, 탈중앙화 시퀀서, Confirmation 이라는 세 개의 스택을 제공합니다. 이 글에서는 그 중, (1) 탈중앙화 시퀀서가 왜 필요한지 알아보고,.(2) Espresso 탈중앙화 시퀀서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본��적으로 들어가기에 앞서, L2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Tweet media three
20
0
30
@LHW0803
nananaa.eth
5 days
[Blockchain’s Four Core Functions and L2] – by nananaa.eth. Because @EspressoSys is a project built for L2,.many people have told me they struggle with the basic concepts and terminology. To help you grasp Espresso’s core ideas and to set the stage for the articles I’ll write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Tweet media three
Tweet media four
12
1
25
@LHW0803
nananaa.eth
6 days
[블록체인 네 가지 기능과 L2] - by nananaa.eth. @EspressoSys 에 대한 글들을 작성할 때 Espresso가 L2를 위한 프로젝트다보니,.기본 개념이나 용어 같은 부분에서 이해에 어려움을 느끼시는 분들이 많았던 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Espresso의 컨셉과, 추후 제가 작성할 아티클들을 이해할 수 있도록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Tweet media three
Tweet media four
28
6
50
@LHW0803
nananaa.eth
7 days
.@EspressoSys는 다시 주 방향성을 바꿨네요. 사실 Espresso는 자체적으로 개발한 큰 두가지 아키텍처인. - Hotshot 기반 합의 알고리즘.- Espresso DA. 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프로젝트 입니다. Hotshot의 경우 빠른 최종성을 제공할 수 있는 합의 알고리즘이고,.Espresso DA는 Hotshot 노드들로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LHW0803
nananaa.eth
8 days
Espresso를 쉽게 설명하면,.이더리움 롤업에 대한 시퀀싱 마켓플레이스 역할을 하��� Based rollup을 위한 프로젝트라고 보시면 됩니다. @EspressoSys 가 제공하는 옥션에서 승리한 L1 밸리데이터가 Espresso에 참여하는 모든 L2 롤업의 시퀀싱을,.정해진 시간동안 한꺼번에 할 수 있는 권리를 갖게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9
0
24
@LHW0803
nananaa.eth
8 days
Espresso를 쉽게 설명하면,.이더리움 롤업에 대한 시퀀싱 마켓플레이스 역할을 하는 Based rollup을 위한 프로젝트라고 보시면 됩니다. @EspressoSys 가 제공하는 옥션에서 승리한 L1 밸리데이터가 Espresso에 참여하는 모든 L2 롤업의 시퀀싱을,.정해진 시간동안 한꺼번에 할 수 있는 권리를 갖게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iinging747
pleasemoney $M | 🐜
8 days
자자 @EspressoSys 미리 키워드 깔끔하게 낋여왔습니다. 미리 선점 드가자. Cross-Chain Composability (크로스체인 상호운용성): Espresso는 여러 블록체인 간의 상호운용성을 지원하여, 모든 체인이 하나의 시스템처럼 작동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Decentralized Sequencer (탈중앙화
Tweet media one
17
0
27
@LHW0803
nananaa.eth
8 days
이전 시리즈. [Verifier node 모델 다양성 확보의 중요성] - 1 모델 다양성이 확보되지 않았을 때의 문제. 링크:
@LHW0803
nananaa.eth
9 days
[Verifier node 모델 다양성 확보의 중요성] - 1. 모델 다양성이 확보되지 않았을 때의 문제. @Mira_Network 는 모델 추론의 결과를 Claim들로 바꾼 뒤, 이를 Verifier node들이 각자의 모델을 이용하여 검증하고 합의하여 Hallucination을 줄입니다. 저는 이 과정에서 Verifier node로 하여금 퀄리티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0
0
5
@LHW0803
nananaa.eth
8 days
[Verifier node 모델 다양성 확보의 중요성] - 2. 다양한 Verifier node의 AI 모델을 확보하기 위한 Mira의 노력. 이전 글에서는 Verifier node가 운영하는 모델의 다양성이 확보되지 않았을 때의 문제를,. (1) 퀄리티 낮은 모델이 많은 경우. (2) 동일한 모델이 많은 경우. 로 나누어
Tweet media one
20
1
37
@LHW0803
nananaa.eth
9 days
[Verifier node 모델 다양성 확보의 중요성] - 1. 모델 다양성이 확보되지 않았을 때의 문제. @Mira_Network 는 모델 추론의 결과를 Claim들로 바꾼 뒤, 이를 Verifier node들이 각자의 모델을 이용하여 검증하고 합의하여 Hallucination을 줄입니다. 저는 이 과정에서 Verifier node로 하여금 퀄리티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14
1
29
@LHW0803
nananaa.eth
10 days
[Mira Network / opML / zkML Comparison].- by nananaa.eth. @Mira_Network 's methodology resembles that of opML and zkML projects in that Verifier nodes are used to validate AI model inference results. I wrote this to compare each methodology and clarify the concepts that can get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Tweet media three
Tweet media four
18
0
23
@LHW0803
nananaa.eth
10 days
쓰다보니 너무 길어져서 인용으로 작성했습니다! 사실 야핑때문에ㅎㅎ… @Mira_network . 사실 이 부분이 고민이 많이 되던 부분이었는데, 검증 노드들이 zkML을 이용하려면 전제조건이. 증명 생성을 위해 검증 노드들이 이용하는 각 모델�� 산술 회로식으로 변환하는 서킷이 온체인에 올라가야 하고,.
@r2Jamong
Rejamong.eth
10 days
zkML = 추론 결과가 해당 모델을 사용한것이 맞는지를 검증.Mira = 추론 결과가 '진실'인지를 검증. zkML을 사용하지 않는 지금의 구조에서 @Mira_Network 의 검증을 담당하는 각 노드들은 사실 AI모델을 사용했는지 어쨌는지 알수가 없음. 그래서 Mira는 검증 노드를.
11
1
18
@LHW0803
nananaa.eth
10 days
[Mira / opML / zkML 비교]. @Mira_Network 의 방법론은 Verifier node들이 AI 모델의 추론 결과를 검증한다는 점에서는 opML / zkML 프로젝트들과 닮아있습니다. 이에 각각의 방법론을 비교해보면서 헷갈릴 수 있는 개념들을 정리해보고자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핵심적인 차이점을 확인해보고,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Tweet media three
Tweet media four
23
1
32
@LHW0803
nananaa.eth
11 days
리자몽님 게시물을 보고 제가 했던 생각도 써보자면. 사실 저는 @Mira_Network를 처음 보고, dydx v2와 같이 오프체인 연산 후 결과만 온체인에 기록하는 '오더북 방식의 perp DEX'를 떠올렸습니다. 오프체인에서 대부분의 연산을 수행하고, 결과와 예치한 자본 변화만을 온체인을 통해 기록하는 점이
Tweet media one
@r2Jamong
Rejamong.eth
12 days
Mira Network로 보는 블록체인의 또 다른 가능성. 최초의 블록체인이라고 할 수 있는 비트코인의 기능은 ‘돈의 흐름에 대한 합의’입니다. 누가 누구에게 얼마를 보냈는지에 대한 장부를 탈중앙 노드들이 합의하는 것이죠. 이 ‘돈에 대한 합의’가 블록체인 1세대라고 해둡시다. 2세대는 이더리움이
Tweet media one
12
2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