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Facttree Profile Banner
머리나무 Braintree Profile
머리나무 Braintree

@EconFacttree

Followers
3K
Following
4K
Media
522
Statuses
6K

흥미로운 사실들을 수집하며 내맘대로 해설합니다. 궁금하게되면 찾아봅니다. Collector of the serendipitously discovered, uniquely absurd, entertainingly sublime and awe-inspiring information.

연합왕국
Joined September 2016
Don't wanna be here? Send us removal request.
@EconFacttree
머리나무 Braintree
9 hours
외국 문물이 그럴듯해 보여서 가져왔다가 낭패+망신 당하는 경우 이젠 충분히 겪어봤으니 면밀한 타당성 조사를 먼저 하고 합시다.
@ssizzkim
씨즈 | ssizz
15 hours
이런생각을 해서 일본에도 지었는데 모기떼에 점령당함 오사카 nex21.
0
0
1
@EconFacttree
머리나무 Braintree
10 hours
두번째는 런던 디자인 박물관. 독특한 전시와 혁신적인 접근방식이 돋보여서 현대 디자인과 건축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 강력 추천 드립니다. 갤러리 옆의 홀란드 파크도 산책하기 좋아 방문 전후 그늘에서 도시락 먹기도 좋습니다.
0
1
3
@EconFacttree
머리나무 Braintree
10 hours
첫번째는 서펜타인 갤러리. 하이드 파크 내 켄싱턴 가든에 위치된 현대미술에 특화된 전시관입니다. 매년 여름 독특한 건축가들이 설계한 임시 파빌리온 전시도 훌륭합니다.
1
1
3
@EconFacttree
머리나무 Braintree
10 hours
여름이 되니 여행오시는 분 많아 이런 훌륭한 공익트들이 많이 올라오는 것 같네요 ㅎㅎ 유명한 곳들 위주로 잘 정리해 주셨는데, 전 좀더 시간 여유가 있으시거나 런던 재방문 하는 분들 위해서 두 군데 추가로 추천드립니다.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tate0606
tate테이트06
19 hours
영국 런던 미술관 & 박물관 정보. 런던에서 지낼 때 즐겨 방문하던 곳과 추천하고 싶은 곳을 위주로 설명해볼께요. ✅런던 박물관과 미술관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17:00까지인데 금요일은 20:30분까지 연장합니다. 금요일에 방문하면 더 오래, 편하게 감상할 수 있으니 이 점 참고하세요. ✅대표적인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Tweet media three
Tweet media four
1
4
17
@EconFacttree
머리나무 Braintree
12 hours
무역분쟁 같은 인위적인 변화는 사실 투자나 사업하는 사람들에겐 기회임. 감이 좋은 사람들은 새로운 수입원/공급원 혹은 시장을 찾게 되는데, 중요한 포인트는 이 분쟁이 끝나도 원상복귀되는 수요공급에 밀려 다시 예전으로 휘귀하지 않을 아이템, 공급원/시장을 확보하는 것.
@Alisvolatprop12
Alis volat propriis
18 hours
수년 전 중국이 류사오보의 노벨상 수상을 빌미로 노르웨이 연어 수입을 중단하자 노르웨이는 울며겨자먹기로 타 국가에 연어를 훨씬 낮은 가격에 대량으로 밀어내야했고 중국인들은 연어를 먹기가 어려워졌지만, 중국 외 다른 국가시민들은 수년 간 질 좋은 노르웨이산 연어를 저렴하게 먹을수있었다.
0
0
4
@EconFacttree
머리나무 Braintree
12 hours
요약을 했는데도 기네요 ㅎㅎ 참고 기사:
0
11
30
@EconFacttree
머리나무 Braintree
12 hours
글에서 제일 마음에 들었던 표현은 "그림 그리기, 춤, 음악 연주, 뜨개질과 같은 예술적 기술을 연습할 때의 반복적인 움직임은 마음을 정화하는 세탁기와 같다. 삶은 예측 불가능해 감각이 익숙함을 잃으면 불안해진다. 주변을 통제하는 대신, 일상 속 루틴을 통해 뇌가 다음 단계를 예측하게 해.
1
57
101
@EconFacttree
머리나무 Braintree
12 hours
몰입을 유도하려면 감각을 자극하는 ‘신호 공간(cue-scape,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미각 등을 활용해 뇌가 몰입상태로 들어가도록 유도하는 공간)’을 만들어야 한다고. 특정 음악, 커피 향, 익숙한 작업 공간은 뇌에 플로우를 상기시키는 신호가 된다고.
1
20
52
@EconFacttree
머리나무 Braintree
12 hours
다양한 수준 재즈음악가들을 대상으로 (경험과 학습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전전두엽에 전기자극을 가해 실험했는데, 전문가의 경우, 자극은 직관적 표현을 방해해 성과를 오히려 떨어뜨렸지만 (그들 기술이 이미 암묵적 기억으로 자동화되었다는 뜻), 초보자는 규칙 기반 사고에 의존하므로 자극이.
1
9
35
@EconFacttree
머리나무 Braintree
12 hours
예를 들어, 전문 가수, 댄서, 음악가는 매일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뇌에 자동화된 연결을 만드는데, 이는 의식적 노력(즉 명시적 기억)을 덜 요구하는 암묵적 기억으로 전환되어 몰입을 쉽게 유도한다는 것. 기술 연습이 플로우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예로 드렉셀 대학교 실험을 들었는데,.
1
16
53
@EconFacttree
머리나무 Braintree
12 hours
핵심은 우선 자신의 스킬 수준과 작업의 난이도가 완벽한 균형을 이루는 것. 작업이 너무 어렵거나 쉬우면 몰입상태에 도달하기 어렵다고. 거기에 더해 몰입을 이룰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반복. 소위 말하는 '머슬 메모리'는 실제로는 근육이 아니라 뇌에서 형성되며, 반복된 연습은 기술을.
1
44
93
@EconFacttree
머리나무 Braintree
12 hours
대부분 사람들에게 플로우는 어린 시절 놀이에 몰두했을 때나 우연히 경험하는 상태인데, 게다가 전문가들이 '느껴라' 혹은 '그냥 하면된다' 등의 모호한 표현으로 몰입상태에 대한 신비화를 덧입혀서 더욱 이해하기 어렵게 함. 하지만 기사에선 우리가 이 상태를 의도적으로 유도시킬 수가 있다고.
1
11
69
@EconFacttree
머리나무 Braintree
12 hours
몰입(플로우) 상태에 대해서 흥미로운 글을 읽었음. 작업에 완전히 몰입해 시간과 공간이 압축되거나 확장되는 듯한 상태를 말하는데, 헝가리 과학자 미하일 치크센트미하이(Mihaly Csikszentmihalyi)가 1990년에 명명한 개념. 움직임과 인식이 하나가 되어 놀라운 생산성과 창의성을 발휘하며, 깊은.
1
233
536
@EconFacttree
머리나무 Braintree
22 hours
출처 골드만 삭스 리서치:
0
6
14
@EconFacttree
머리나무 Braintree
22 hours
골드만에서 얼마전에 나온 노령화에 대한 노트를 봤는데 흥미로운 포인트가 수명이 늘고 출생률이 감소하는 것은 분명 위기이지만, 노동 시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데 보낸 평균 생애%는 이미 눈에 띠게 증가하고 있어서 어느정도 상쇄 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계속되는 수명 증가와 출생률 감소가
Tweet media one
2
228
346
@EconFacttree
머리나무 Braintree
1 day
한국 상장기업중 자본재분야 작년 영업이익 마진률 1위는 하이드로 리튬(49%)인데 이 회사는 그 전해 대규모 적자를 봤기 때문에 감안해야하고, 그 다음 높은 회사는 전력설비 제조업체 제룡전기 (36.8%).
Tweet media one
@EconFacttree
머리나무 Braintree
1 day
궁금해서 찾아봤는데 sp500 자본재 Capital Goods 회사중 영업이익 마진 (EBIT Margin)이 40%넘는 곳은 항공 부품 제작업체 TransDigm Group 하나임. 작년 9월 회계연도 기준 45.7%.
Tweet media one
0
0
2
@EconFacttree
머리나무 Braintree
1 day
궁금해서 찾아봤는데 sp500 자본재 Capital Goods 회사중 영업이익 마진 (EBIT Margin)이 40%넘는 곳은 항공 부품 제작업체 TransDigm Group 하나임. 작년 9월 회계연도 기준 45.7%.
Tweet media one
@yuri_ajossi
Yuri
3 days
제조업 마진이 40%? 시발 무슨 화낙이야? 화낙도 요새 그리 안됨. 무슨놈의 자동차 하청업체가 마진이 40%? 4%만 되도 다행임.
0
0
10
@EconFacttree
머리나무 Braintree
2 days
영화 빅쇼트에도 보면 주인공 마이클 버리의 금융위기 대폭락의 예측이 맞았지만 쇼트에 베팅한 후에도 한참(거의 3년정도)을 기다려야 했던 장면이 있습니다. 닥터 둠이라고 불리던 누리엘 루비니는 그보다 훨씬 전부터 계속 위기를 말했지요 (그래서 사람들이 우스개로 계속 위기라고 말하고.
@JunDo1050
JunDoJun
3 days
ㅎㅎ 1년이던 2년이던 멜트업이 더 지속되지 말라는 법도 없지요. 제 말이 맞으라는 법도 없구요. 늘 말씀드리지만 저는 리스크관리 차원에서 객관적인 리스크요인과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도 있는 시점에 관한 얘기를 하는 것이지 저는 예언가도 아니고, 투자조언을 하는 것도 아닙니다. 그리고.
0
9
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