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zzlist Profile Banner
Poo-Sung Park Profile
Poo-Sung Park

@puzzlist

Followers
3K
Following
2K
Media
1K
Statuses
5K

mathematician #GeometryProblem #GeometryProblemArchive #CuriousApproximation #alphametic https://t.co/d5D98OFRYX

[Ma/Bu]san, Korea
Joined August 2009
Don't wanna be here? Send us removal request.
@puzzlist
Poo-Sung Park
8 months
2025년 수학달력 구매안내
Tweet media one
2
12
27
@puzzlist
Poo-Sung Park
17 hours
창원 지역 현재 폭우 내리는 중. 그야말로 장대비.
0
0
1
@puzzlist
Poo-Sung Park
18 hours
올해는 마지막 6번 문제가 꽤 어려웠나 보다. 600명이 넘는 참가자 가운데 이 문제에서 7점 만점을 받은 학생이 여섯 명뿐이었다.
Tweet media one
0
2
3
@puzzlist
Poo-Sung Park
18 hours
며칠 전 치러진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 결과가 발표되었다. 우리나라는 3위. 우리나라 팀 6명에 정말 오랜만에 여학생이, 그것도 중2 여학생이 선발되어서 화제였는데, 성적도 좋아서 72명에게 준 금메달도 받았다. 최연소 금메달 수상자 명단에도 이름을 올릴 수 있을 듯.
1
10
14
@puzzlist
Poo-Sung Park
2 days
다음에는 수학자들이 무슨 논문을 쓰는지 써볼까? 수학자들이 논문 쓰는 걸 문제집 문제 풀기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아서 든 생각. ㅎㅎ (8/k, k=8).
0
2
13
@puzzlist
Poo-Sung Park
2 days
안타깝게도 우리나라 대학 대부분은 분야 불문하고 논문 실적을 양으로 따지기 때문에, 다른 이공계와 같은 기준으로 평가받는 수학자들은 꽤나 억울하다. 일반인들의 사회적인 평가도 마찬가지고. (7/k).
1
3
12
@puzzlist
Poo-Sung Park
2 days
오히려 가치는 별로 없으면서 편수만 많다고 할 수도 있지 않을까? 일단 저렇게 많은 논문을 쓴 성실성은 존경할 만하겠지만. (6/k).
1
1
9
@puzzlist
Poo-Sung Park
2 days
수학자들에게는 그야말로 무의미한 표현이다. 예를 들어,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한 Andrew Wiles는 30편이 안 되는 논문을 썼는데, 논문 300편을 쓴 수학자가 Wiles보다 더 뛰어난 수학자라고 할 수 있을까? (5/k).
1
2
10
@puzzlist
Poo-Sung Park
2 days
물론 세부 분야에 따라 생산성의 차이가 커서, 어떤 분야는 논문 한 편 쓰는 데 몇년이 걸리는가 하면, 어떤 분야는 한 달에 한 편씩 논문이 나오기도 한다. 가끔 논문 편수만 따져서 "세계 정상급 수학자"라는 언론 보도가 나오곤 하는데, (4/k).
1
2
8
@puzzlist
Poo-Sung Park
2 days
수십 년 동안 해결되지 않던 문제가 갑자기 간단하게 해결되기도 하고, 간단해 보였던 문제가 몇백 년 동안 안 풀리는 경우도 있다. 이러니 1년에 논문 한 편 쓰는 것도 쉽지 않다. (3/k).
1
1
9
@puzzlist
Poo-Sung Park
2 days
아무리 그럴싸한 결과라도 증명에 성공하지 못하면 논문이 되지 않고, 반대로 증명이 너무 쉬워도 가치가 떨어지니 참 딜레마이고, 더 ���제는 증명이 쉬울지 어려울지 심지어 아예 증명이 불가능할지를 해보지 않고는 알 수가 없다는 점이다. (2/k).
1
2
9
@puzzlist
Poo-Sung Park
2 days
수학 논문 이야기 신기해 하는 분이 많아서, 이번에는 논문 실적 이야기. 논문 한 편 쓰는 게 어느 분야든 쉬운 일은 아니지만, 실험이나 현상의 해석이 아닌, 정리와 증명으로 이루어진 수학 논문은 특히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1/k).
@puzzlist
Poo-Sung Park
3 days
수학 논문의 저자 순서. 다른 학문, 특히 실험이 있는 학문과 달리 수학 분야의 논문은 거의 모두 저자를 알파벳 순으로 나열한다. 가장 앞에 오는 제1 저자, 가장 끝에 오는 교신 저자 같은 개념이 없는 것. 논문에 대한 공헌도도 대개 1/n이다. (1/n).
1
17
49
@puzzlist
Poo-Sung Park
3 days
물론 저자를 알파벳 순으로 쓰는 것은 일종의 관례이므로 알파벳 순서와 다르게 저자를 나열한 논문이 없지는 않다. 저자를 알파벳 순으로 나열하는 관례는 수학 이외에 이론물리 분야에도 있다는데, 역시 이론물리는 수학에 가까운 학문. (5/n, n=5).
1
25
48
@puzzlist
Poo-Sung Park
3 days
다른 논문을 인용할 때 저자명의 알파벳 머릿글자를 약어로 쓰는 경우가 많은데, 가장 멋있었던 사례는 B. , E. , S. , T. 를 알파벳 순서대로 쓴 BEST였다. 중국 수학자들은 W, X, Y, Z로 시작하는 이름이 많아서, 중국 수학자와 협업을 해야 제1 저자가 될 수 있다는 농담도 있다. (4/n).
1
38
54
@puzzlist
Poo-Sung Park
3 days
이러한 특수성을 이해하지 못하고, 제1 저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후순위 저자가 주도적으로 쓴 논문인데도 불이익을 주는 황당한 일이 벌어지곤 했다. (3/n).
1
21
41
@puzzlist
Poo-Sung Park
3 days
신기한 현상에 대한 추측을 제시하는 논문이 없지는 않으나, 거의 모든 수학 논문은 명제-증명 형식이다. 증명 과정에서 아주 작은 공헌을 했더라도 그 부분이 없으면 전체적인 증명이 완성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공헌도를 ���적으로 판정하는 것이 무의미하다. (2/n).
1
39
68
@puzzlist
Poo-Sung Park
3 days
수학 논문의 저자 순서. 다른 학문, 특히 실험이 있는 학문과 달리 수학 분야의 논문은 거의 모두 저자를 알파벳 순으로 나열한다. 가장 앞에 오는 제1 저자, 가장 끝에 오는 교신 저자 같은 개념이 없는 것. 논문에 대한 공헌도도 대개 1/n이다. (1/n).
1
201
282
@puzzlist
Poo-Sung Park
8 days
정답이 궁금한 분들을 위해.
Tweet media one
2
4
13
@puzzlist
Poo-Sung Park
8 days
그 사람이 이런 답을 보내왔다. "중학생인가 보네? 나중에 이차방정식 배우면 방정식의 해가 두 개일 수 있다는 걸 배우게 될 거야.". 내가 이차방정식을 모를 나이는 아니었는데. ㅎㅎ (4/n, n=4).
2
2
8
@puzzlist
Poo-Sung Park
8 days
방정식 x = √2ˣ의 해는 x=4도 가능하지 않냐고 물었더니, 그 사람이 "아, 그렇네, 4도 답으로 가능."이라고 해서, 내가 어이가 없어서 다시 물었다. "하나의 식이 어떻게 두 가지 값을 가질 수가 있나요. 저 수식은 2 아니면 4이지, 동시에 2이면서 4가 될 수는 없잖아요."라고 했더니. (3/n).
1
2
4
@puzzlist
Poo-Sung Park
8 days
어떤 사람이, 수식 전체를 x라 하면, 지수 전체가 x와 같으니까 x = √2ˣ를 푸는 것과 같다면서, x=2라고 답을 하였다. 그래서 내가. (2/n).
1
2
4